반응형 전체 글73 워드클라우드 만들기 기초 활용! 이번에 Python으로 만든 워드클라우드는 띄어쓰기 포함, 18884개의 음절로 이루어져있는 대한민국 헌법 말뭉치를 활용했다. 완성한 워드클라우드는 아래와 같음! 워드클라우드를 만들 때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은... KoNLPy 라이브러리 설치였다. 왜 계속 설치가 안되는지...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해결함! 블로그 참고(https://m.blog.naver.com/kiddwannabe/221795961189) 1,2번 블로그 글 Jpype 설치 참고 작성한 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음! from konlpy.tag import Okt #품사 태깅 클래스 중 Twitter 불러오기 / https://konlpy.org/ko/latest/morph/#comparison-between-pos-taggin.. 2022. 3. 3. 2020년 서울 주거지, 수변부, 공원 모기지수 그래프로 나타내기 모기가 다가오는 계절. 2022년의 주거지, 수변부, 공원의 모기지수는 어떻게 될까 궁금했음. 그래프를 살펴보면 8월 말에 보기지수가 가장 높고, 10월 초가되면 모기지수가 급속도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인다. 각 그래프의 형태가 비슷해보이나 y축 값을 잘 보면 수변부는 최고 180이 넘는 모기지수가 나타난다. 특히 8월달에는 물 주변에 함부로 가면 안되겠구먼... 2022년에는 모기지수가 조금 더 낮길 바라며 ㅠㅠ 활용한 데이터 http://data.seoul.go.kr/dataList/OA-13285/S/1/datasetView.do 열린데이터광장 메인 데이터분류,데이터검색,데이터활용 data.seoul.go.kr 활용 코드 import requests #서버 접속 import json #json 읽기 .. 2022. 2. 28. 헤라클레스와 인공지능의 끈기 헤라클레스하면 몽둥이를 들고, 사자 가죽을 쓰고 있는 모습을 떠올린다. 이때 쓰고 있는 사자 가죽이 바로 네메이아의 사자 가죽이다. 헤라클레스는 헤라의 저주에 의한 광기로 인해 자신의 아들과 아내를 죽이고 만다. 이후 목숨을 스스로 끊으려는 헤라클레스 앞에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가 나타나 그를 위로한다. 헤라클레스는 자신의 죄를 씻는 방법을 알고자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으로 찾아간다. "아폴론" 신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신탁을 내린다. 티린스의 왕 에우리스테스의 밑에서 12년간 봉사하라 헤라클레스는 에우리스테스에게서 첫번째 명령을 받으니, 그것이 바로 티린스를 위협하는 네메이아의 사자를 처단하라는 것이다. 이 네메이아의 사자를 죽이는 방법은 없다. 30일간 숨통을 조이고 있는 것 외에는. 헤라클레스는 .. 2022. 2. 27. matplotlib 그래프 이미지가 잘린 상태로 저장될 때 matplotlib으로 이미지를 그린 후 저장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이미지가 잘리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는 간단한 명령어 하나로 해결 가능하다. plt.tight_layout() 위 명령어를 적용하면 x축 이름 모두 잘 보인다! 2022. 2. 23. 2021학년도 전국 초등학교 전출입 학생 수 평균 그래프 위 데이터는 학교 알리미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www.schoolinfo.go.kr/Main.do 학교알리미(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학교알리미_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서비스 www.schoolinfo.go.kr 지난 글에서 전국 초등학생 입학생 평균(시도교육청의 학교별 평균)을 보았을 때 서울 다음으로 세종이 높았다. 그런데 전입생의 경우 세종이 압도적으로 높은 평균 전입생 수를 자랑하고 있다! 세종... 대체 어떤 도시야..? 그리고 서울은 전입생이 전출생보다 많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오히려 전출생이 더 많다는 것도 놀라웠음! 전체적인 파이썬 코드는 아래와 같다. 단, 아래 파이썬 코드는 반복문을 활용하면 더욱 깔끔하게 만들어질 수 있을듯! 1~6학년 그래프 그리기는 몇개의 값만 제외하.. 2022. 2. 22. 5. 오르페우스와 인공지능의 예술 오르페우스는 음악의 신 "아폴론"과 음악과 시를 관장하는 아홉 명의 여신, 무사이 중 하나인 "칼리오페"의 아들이다. 오르페우스가 기쁜 마음을 담아 연주하면 산새들 뿐 아니라 돌과 곡식들도 춤을 췄다고 한다. 오르페우스는 님프족인 에우리디케와 결혼하였다. 결혼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에우리디케는 아리스타이오스의 구애를 피하다 뱀을 밟고, 성난 뱀에 물려 죽고 만다.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를 그리워하며 음악을 연주했다. 얼마나 절절했는지, 온 세상의 곡식들도 시들시들 힘을 잃었다. 이에 곡식의 여신 "데메테르"는 딸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를 전하며, 저승으로 갈 수 있는 방도를 알려준다. 오르페우스는 저승에서 만난 카론, 통곡의 강, 불의 강, 망각의 강, 혼령의 무리들을 음악으로 감동시켜 결국 "하데스"와.. 2022. 2. 20. 학교알리미로 2021 전국 초등학교 입학생 수 그래프 그리기 원래 있던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옮기게 되었다. 원래 있던 학교는 한 학년당 학급 수가 5개이며, 학급 당 학생 수는 약 20명이었다. 새로 옮기는 학교는 한 학년당 학급 수가 8개이며, 학급 당 학생 수는 약 20명이었다. 서울에서도 이렇게 초등학생 수가 차이가 큰데... 2021년도 전국 초등학교 입학생 수는 어땠을까? 학교알리미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공개용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입학생 현황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2021년도로 설정하여 csv파일을 내려받았다. 전국 시도교육청별 총 입학생 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Python 코드는 아래와 같다. import pandas as pd #데이터 프레임(표) 만들기 import matplotlib #한글 설정을 위한 .. 2022. 2. 19. 4. 둔갑술과 인공지능 프로테우스는 용, 구름, 뱀, 사자, 호랑이와 같은 다양한 모습으로 자신의 모습을 바꿀 수 있으며 많은 지혜를 가지고 있다. 이 프로테우스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의 슬픈 이야기의 시발점이 되는 인물, 아리스타이오스의 이야기에서 등장한다. 아리스타이오스에 의해 에우리디케가 죽자 그가 기르던 벌이 모두 죽기 시작한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어머니 키레네로부터 프로테우스가 자고 있을 때 그를 찾아가 몸을 사슬로 결박하고 해결책을 알려주기 전까지는 절대로 풀어주지 말라는 조언을 듣는다. 아리스타이오스는 프로테우스를 결박하는데 성공하고, 그로부터 에우리디케를 위한 제사를 지내라는 말을 듣는다. 제사를 지낸 후 아리스타이오스의 벌은 더이상 죽지 않았다고 한다. 인공지능은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으로 나눌 수 있다. 약인.. 2022. 2. 15. 서울 노원구 날씨 데이터와 그래프 만들기 일기예보를 보기 위해 네이버에서 노원구 날씨를 검색했다. 그날의 시간별 기온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그런데 주간예보는 최저, 최고 기온을 표로 나타내어 가독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기온(+날씨)을 웹스크래핑하여 가져온 후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보았다. 1.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불러온다. #정적 웹페이지 데이터 가져오기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requests #데이터 저장 및 분석하기 import pandas as pd #오늘의 날짜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정규식 import re #그래프 그리기 import matplotlib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2. 노원구 날씨 데이터를 웹스크래핑한다. #[오늘을.. 2022. 2. 14. 3. 피그말리온과 인공지능 결혼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 섬의 조각가이다. 키프로스 섬은 몸을 파는 여자들이 많았고, 피그말리온은 이에 다른 여자와 감정적 교류를 하지 않았다. 어느날 피그말리온은 상아를 이용해 아름다운 여인상을 만드는데, 이 여인상을 볼때마다 피그말리온은 이룰 수 없는 사랑에 절망과 행복함을 번갈아 느꼈다. 그러던 중 "아프로디테" 여신의 축제날, 피그말리온은 "아프로디테" 여신에게 여인상을 진짜 사람으로 바꾸어달라고 소원한다. 자신의 집으로 돌아온 피그말리온은 평소와 같이 자신이 만든 여인상을 절망과 행복이 담긴 눈으로 바라보았다. 그때, 평소의 여인상과 달리 너무나도 사람과 같은 느낌에 여인상의 손을 만진 피그말리온은 상아로 만들어진 차갑고 딱딱한 피부가 아닌, 따뜻하고 부드러운 피부에 놀란다. 잠시 시간이 지나자 여.. 2022. 2. 12. 이전 1 ···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