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과 클래스팅이 클래스팅AI를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협약을 맺었다.
클래스팅AI의 매뉴얼에 따르면 클래스팅AI는 수준별 맞춤 학습으로 전과목 교육과정을 골고루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한다. 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 출판사의 문제와 동영상 강의가 무려 12만건!
최근 AI의 등장으로 수준별 맞춤 학습에 대한 요구가 정책적으로도, 실제 교육현장에서도 높은 상황에서 클래스팅AI가 이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을까 궁금했다.
평소에도 수준별 맞춤 학습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었는데 이를 위한 예산을 학급차원에서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클래스팅 AI만 해도 학생 개인이 신청하면 1달에 약 50,000원 정도의 이용료가 드는데, 이걸 학급 학생 수 22명으로 환산하면 2달이면 200만원 정도 되는 이용료다! 이런 때 아니면 언제 써보겠는가!
학교에서 사용한다면 상담을 통해서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상담받아 적용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어느정도 가격인지는 모름... :(
암튼! 공문으로 그 내용을 접하자마자 바로 신청!
클래스팅AI 활용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1. 에듀파인에서 클래스팅AI 공문 확인
2. 공문 내 링크로 사용 신청(신청하면 클래스팅에서 사용 방법에 대한 자료가 포함된 메일을 보내줌)
3. 교사가 클래스팅 학급방 생성
4. 학생의 클래스팅 회원 가입
5. 학생의 학급방 가입(초대코드로 가입하면 편리)
6. 하루 기다리기(클래스팅AI의 유료 적용이 이루어지려면 하루를 기다려야 했다)
7. 클래스팅AI 활용하기
아직 클래스팅AI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은 안되었지만 편리한 점과 불편한 점을 정리해보면,
편리한 점 | 불편한 점 |
1. 클래스팅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2. 학교 예산으로는 클래스팅AI 이용료가 저렴하다. 3. 학생들의 주간 학습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4. 학생들의 문제 풀이량과 정답률을 시각화해서 볼 수 있다. 5. 개별 학생들의 성취도, 학습량, 학습 시간, 학습 패턴을 시각화해서 볼 수 있다. 6. 전국 학교, 전국 클래스, 우리 학교별 순위를 알 수 있다. 7.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로 스스로 학습을 한다. 8. - |
1. - 2. 담임 차원에서 활용이 어렵다. 3. 학습량, 정답률을 마우스를 올려야 확인할 수 있다. 4. 누구의 데이터인지 마우스를 올려야 확인할 수 있다. 5. 다른 학생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보기 위한 절차가 번거롭다("관리페이지->개별학생선택" 이 과정의 반복이 필요) 6. - 7. 평소 학습 의욕이 높은 친구는 스스로 하고, 낮은 친구는 스스로 하지 않는다. 8. 1주일 단위로 시각화가 되어있지 않다. |
특히 게이미피케이션 요소 덕분에 강제로 학습을 시키지 않아도 서로 경쟁이 붙어서 스스로 학습한다! 하지만 애초에 학습 의욕이 낮은 학생들은 스스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학급회의를 통해서 여름방학 숙제로 다음과 같은 클래스팅AI 과제를 추가하기로 했다.
[클래스팅 AI]
-자신에게 부족한 과목을 중점으로 풀기
-정답률은 50%↑
-1주일 2일 이상 들어가기
-1일 접속 시 최소 100문제
-수행 정도에 따라 개학날 장학금 학급 통화 "구리"로 지급
(1등 : 100구리, 2등 70구리, 3등 50구리, ~10등 20구리, 17등 10구리)
프로젝트형 학습을 하다보면 기초,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의 습득이 필수라는 것을 느낀다. 일부 학생들은 이 지식과 기능이 부족한데 그러다보니 참여하고 싶은 의지가 높음에도 무임승차가 일어나게 된다. 이는 학생들의 자존감과 학습의욕을 낮추게 되고 이것이 프로젝트 학습의 어두운 면이라고 생각한다.
개별 학생들에게 부족한 지식과 기능을 클래스팅AI와 같은 수준별 맞춤 학습 지원 프로그램으로 해결하고, 인간 교사는 프로젝트형 학습을 학생과 함께하는 수업이 학교 수업의 바람직한 변화가 아닐까 생각한다.
'교단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와 피사의 사탑의 공통점(feat. 피사의 사탑) (4) | 2022.09.04 |
---|---|
적시성에 따른 프로젝트형 수업(feat. 장마) (0) | 2022.07.17 |
태블릿PC로 하는 프로그래밍 수업(feat.올라운더?) (0) | 2022.07.03 |
움직이는 영상 손쉽게 만들기(feat. 주민참여예산) (0) | 2022.06.24 |
전교생 교통사고 데이터 수집(1) (4) | 2022.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