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단일기

인공지능과 그림 그리기(feat. SH 그림 그리기 대회)

by 너구리선생님 2022. 5. 15.
반응형

출처 : SH서울주택도시공사

 SH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서울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주제는 서로의 울타리가 되어주는 행복한 서울

 

 이번 대회의 참여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환경을 더 넓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하였다. 학생들에게 참여 의향을 물어보니 절반이 훌쩍 넘는 학생들이 참여해보고 싶다고 하였다. 수업 시간을 활용하여 우리 반 학생들 모두 함께 대회에 참여하기로 하였다. 이전에 100주년 어린이날 가사 짓기 공모전과 같은 대회에 반 전체가 다함께 공모전에 참여한 이후로 2번째 단체 참가다.


  공모전 참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1. 공모전 주제 및 활동 흐름 안내하기(5분)

2. 서울의 다양한 명소를 살펴보며 친구, 이웃, 가족과 함께 했던 추억 떠올리기(10분)

3. 떠올린 추억을 담아 명소를 홍보하는 글 만들고 공유하기(40분)

4.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떠올린 추억 스케치 만들기(20분)

5.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스케치 채색하기(10분)

6. 실제 그림 그리기(80분)

7. 작품 제출하기(진행 중_다음 주 제출 예정)

 

각 단계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1. 공모전 주제 및 활동 흐름 안내하기(5분)

 -SH 서울주택공사 홈페이지에 있는 공모전 참여 주제 및 작품 제작시 유의점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때 여러번 강조한 점은 주제심사기준이었다. 공모전을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것들을 배울 수 있지만 시상을 하는 공모전에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상하는 경험도 누릴 수 있었으면 하였다.

 -공모전에 대한 내용과 활동 흐름은 학생들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학생 자료 수합의 편의성을 위해 아래와 같이 클래스룸으로 안내하였다. 전체적인 활동 흐름도 아래에 담겨 있다.

 

학생들에게 안내한 클래스룸 과제

 

2. 서울의 다양한 명소를 살펴보며 친구, 이웃, 가족과 함께 했던 추억 떠올리기(10분)

 -Visit Seoul이라는 사이트에 서울의 다양한 명소 이름, 사진, 설명이 담겨있었다(https://korean.visitseoul.net/attractions)

 

서울 가볼만한 관광 명소

서울 관광 명소. 놓칠 수 없는 서울의 숨은 명소! 랜드마크, 고궁, 역사적 장소, 오래된 가게들(오래가게), 미술관 & 박물관 모아보기. 다양한 명소의 이용 시간, 운영정보, 위치 등 주요 정보 한눈

korean.visitseoul.net

 -위 사이트에서 학생들이 서울에서 있었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서울 어린이 대공원과 같이 위 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없는 장소는 구글을 통해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추억 중 공모전 주제, 서로의 울타리가 되어주는 행복한 서울에 부합하는 추억을 선정하라고 안내하였다.

 

3. 떠올린 추억을 담아 명소를 홍보하는 글 만들고 공유하기(40분)

 -떠올린 추억을 담아 명소를 홍보하는 글을 만들게 하였다.

 -심미적인 만족감도 추가할 수 있도록 미리캔버스라는,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형식의 통일성을 위해 "PPT" 형식을 활용하게 하였으며, 학생 작품은 미리캔버스 작품 링크패들릿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는 구체적으로 독자(다른 학생)를 설정함으로써 제작 의욕을 높이고,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을 반성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기 위함이었다.(이후 제작한 스케치, 채색한 스케치 또한 패들렛에 올리도록 하였다)

패들렛에 올린 학생 작품

 

4.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떠올린 추억 스케치 만들기(20분)

 -그림 그리기 전 우리는 스케치를 통해 어떤 사물을, 어느 위치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표현할지 미리 생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수정한다. 이후 선을 명확하게 하고, 채색하는 과정을 밟는다.

 -그런데 6학년임에도 스케치를 하지 않고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고, 다함께 스케치하는 단계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창의성이 작품 심사 기준에 있고, 창의성을 발휘하면 그림 실력이 조금 부족해도 창의성 점수를 통해 전체적인 점수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초현실주의 작품들도 스스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조언하고 격려하였다.

 -AutoDraw라는 사이트는 사용자가 직접 그림을 그릴 수도 있고 그린 그림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그림을 선택하여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https://www.autodraw.com/)

 -위 사이트를 활용해 학생들은 자신이 떠올린 추억 스케치를 만들고 패들렛에 공유하였다.

 -직접 스케치 하지 않고 AutoDraw를 활용한 이유는 그림 그리기에 자신이 없는 친구, 그림 그리기 기능이 부족한 학생들도 인공지능의 도움을 통해 구체적으로, 멋지게 표현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도움을 주고, 그림 그리기에도 자신감을 불어넣을 수 있을거라 생각했다.

 

5.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스케치 채색하기(10분)

 -AutoDraw에서도 어느정도 색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색의 활용이 어려우며, 그라데이션과 같은 느낌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Petalica Paint라는 사이트는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어떤 색을 칠할 것인지 간단한 선으로 표현하면 인공지능이 채색한다.

(Petalica Paint로 만든 예시 작품) 어두운 밤에 선물을 배달하는 산타. 위장을 위해 파란색, 검은색으로 옷을 입고 다닌다.

 -학생들이 채색하기 전 어떤 색채를 활용할 것인지, 그 색채를 활용했을 때의 작품 전반의 느낌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Petalica Paint를 활용하였고, 이 또한 패들렛에 공유하였다.

 

6. 실제 그림 그리기(80분)

 -크롬북이나 태블릿PC가 학생 당 1대씩 사용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해당 기기들이 확보되지 않은 환경이므로 학생들의 스케치, 채색 작품을 직접 컬러 프린트 해서 나누어주었다. 컴퓨터실에서 하지 않은 이유는 초등학교는 컴퓨터실 활용 시간이 배정되어 있어 컴퓨터실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신이 기존에 만들었던 스케치, 채색 작품을 보며 학생들은 스케치, 채색의 과정을 거쳤다.

 

 7. 작품 제출하기(진행 중_다음 주 제출 예정)

 -가정에서 작품을 제출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한 환경이 다수 존재하여 담임인 내가 일괄적으로 제출하기로 하였다.

 -학생들은 가정에서 아래의 내용을 작성해와야한다. 아래 활동지에도 주제를 적어 지속적으로 주제를 강조하였다.

학생 작성 내용


 수상을 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학생들, 인공지능과 함께 공모전 작품 제출까지 끝까지 함께한 경험은 학생들에게도 나에게도 뜻깊은 경험이었다.

 

 학생들의 능력과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나날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