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걸렸다.
불행 중 다행으로 아내와 함께 코로나에 걸려 같이 자가격리 했다.
자가격리하며 프로그래밍에 관심있는 학생들 및 선생님을 위한 Colab을 활용한 파이썬 활동지를 만들었다.
*Colaboratory, 줄여서 Colab은 브라우저 내에서 Python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그래밍 환경을 스스로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음 프로그래밍 학습하는 사람에게 특히 유용하다.
(구글에 "파이썬 설치 오류", "VSC 설치 오류", "Anaconda 설치 오류", "Jupyter Notebook 설치 오류" 등을 쳐보면 Colab으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것이 얼마나 편리한지 알 수 있을 것!)
[활동지를 만들게 된 이유]
-Colab으로 만들어진 활동지가 없다. 없는데 필요성을 느낀다면 어떻게 하겠나... 직접 만들어야지 :(
-학생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다보면 학생들은 교사가 작성하는 코드를 보며 따라가는데 급급하다. 따라하는데 급급하다보니 자신이 배우는 내용에 대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다.
-체계적인 커리큘럼의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단순히 코드를 만드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데 영감을 주거나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프로그래밍 관련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통해 우리 주변의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학생들이 스스로 고민하고 만들 수 있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활동지 활용의 장점]
-학습 속도를 학생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자신의 프로그래밍 실력에 따라, 타자 입력 속도에 따라 학습 속도를 조절해도 다른 사람의 학습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를 통해 스스로 고민하고 생각하는 시간이 생긴다.
-검색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아래의 활동지는 모든 문제에 대한 정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가끔은 의도한 오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제시한 링크를 통해 해결하거나 스스로 구글링을 통해 해결하게 하였다.
-학습 결과물 정리가 손쉽다. 학습 결과물 정리는 학생이 학습과정을 복습하는데, 교사가 과정중심평가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번에 제작한 5개의 활동지는 아래의 링크에 담겨있다.
앞으로 추가로 제작할 활동지는 데이터 분석(표, 그래프 만들기), 웹스크래핑(인터넷 정보 가져오기), 인공지능(분류, 회귀 등) 관련 활동지이다.
1. 코랩 연결 및 자기소개
코랩의 사용법을 익히기 위한 활동지를 만들어보았다.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Dh6qkKtYzYHzWYEPNlo1dx7zf5hM7tI4?usp=sharing 1. 코랩 연결 및 자기소개 Colaboratory notebook colab.research..
aigoamigo.tistory.com
2. 제비뽑기 프로그램 만들기
[학습 목표] * 입력과 변수의 의미를 알고, 라이브러리 속 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활용 함수] * input() : 입력을 위한 함수 / python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다(파이썬 내장함수
aigoamigo.tistory.com
3-1. 리스트로 여러명에게 반복되는 편지쓰기(for)
[학습 목표] * 리스트와 반복문(for)을 활용할 수 있다. [활용 함수] * for : 반복을 위해 활용하는 함수 / for 대신 while을 활용할 수도 있다(다음 시간에 함께 알아보자!) [용어] * 리스트
aigoamigo.tistory.com
3-2. 리스트로 여러명에게 반복되는 편지쓰기(while)
[학습 목표] * while 반복문을 활용할 수 있다. [활용 함수] * while : 반복을 위해 활용하는 함수 [용어] * 무한루프 :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이 끝없이 작동하는 것 활동지 3-2. 리스트로 여러
aigoamigo.tistory.com
4. 딕셔너리로 사전 만들기
[학습 목표] * 딕셔너리 자료형을 활용해 사전을 만들 수 있다. [용어] * 딕셔너리 : 파이썬 자료형 중 하나 / key와 value가 서로 짝이 됨(대응됨) / 딕셔너리 생성을 위해선 {key:valu
aigoamigo.tistory.com
5. html 만들고 정보 가져오기
[학습 목표] * 딕셔너리 자료형을 활용해 사전을 만들 수 있다. [활용 함수] * open() : 파일 열기 * BeautifulSoup() : bs4 라이브러리에 속한 클래스 / HTML 문서의 정보를 찾기 위한..
aigoamigo.tistory.com
'교단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실이 안좋을 때 대처방법 (2) | 2022.05.22 |
---|---|
인공지능과 그림 그리기(feat. SH 그림 그리기 대회) (0) | 2022.05.15 |
비주얼씽킹의 필요성과 실행(너쌤) (4) | 2022.05.01 |
사자성어 게임 프로그램 만들기(너쌤) (1) | 2022.04.23 |
메타버스와 현장체험학습 (2) | 2022.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