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 대학원을 졸업한 선생님 두 분을 만났습니다.
평소 AI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 저였지만, 이 두 분을 만나고 난 후 변화하는 AI 기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래서 AI의 최신 현황을 찾아보기 위해 이것저것 살펴보던 중 스탠퍼드 대학교의 AI Index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AI Index란?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과 현황을 추적하고 평가하는 지표이다. 이 지표는 스탠포드 대학교 인공지능 연구실에서 발표하며, 인공지능 분야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여 다양한 데이터와 차트로 시각화한다.
스탠포드 AI Index는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 연구 업적, 산업 동향, 교육 및 인력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을 평가할 수 있다.
위 AI Index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AI Index 공식 사이트와 ChatGPT를 통해 정리하였습니다.
https://aiindex.stanford.edu/about/
About –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The AI Index The AI Index Report tracks, collates, distills, and visualizes data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ts mission is to provide unbiased, rigorously vetted, and globally sourced data for policymakers, researchers, executives, journalists, an
aiindex.stanford.edu
도중에 ChatGPT의 뻔뻔함을 다시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ChatGPT가 이렇게 거짓말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진위여부를 파악하는데 결국 수고가 들어갑니다.
2022 AI Index의 주요 내용을 살펴볼까요?
2022 AI Index로 바라본 현재 상황과 미래 전망 Top 8
1. AI에 대한 민간투자 급증, 투자집중 심화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금은 2021년 약 935억 달러로, 2020년 대비 두배 이상 늘어남
-투자금이 늘어나는데 반해, 새롭게 투자 받은 인공지능 회사는 점차 줄어듬
-위 결과 적은 회사에 많은 양의 투자금이 집중되고 있음
2. 미국과 중국의 AI에 대한 국가간 공동작업이 가장 우세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냉각되어 있음에도 AI에 대한 공동작업은 2010년과 비교해 2021년, 5배 이상 증가
-2위는 중국과 UK
3. 언어 모델의 유용성이 증가하였으나 편향도 함께 증가
-편향이란 모델이나 알고리즘에 내재된 인위적인 혹은 의도하지 않은 불균형을 의미
4. AI 윤리의 대두
-2014년과 비교해 2021년, AI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관한 연구가 5배 이상 증가하였음
5. 저렴해진 AI 학습과 높아진 성능
-이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의 상업적 이용이 용이해짐
6.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
-2021년 본 연구에 소개된 최첨단 AI 기술 10개 중 9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였음
7. AI 기술에 대한 강화된 규제
-AI란 낱말이 들어간 법안은 25개국에서 2016년 1개였으나 2021년 18개로 증가
-스페인, 미국,영국에서 2021년 각각 3개의 법안이 통과됨
8. 더욱 저렴해지는 로봇팔
-로봇팔 하나의 가격은 2017년 약 5250만원에서 2021년 2825만원으로 변동됨(1$당 환율 1250원으로 계산)
*더욱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 싶다면 아래의 사이트에서 "Download OAD The Full Report"를 클릭
https://aiindex.stanford.edu/report/
The AI Index Report – Artificial Intelligence Index
The AI Index is an independent initiative at the Stanford Institute for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AI), led by the AI Index Steering Committee, an interdisciplinary group of experts from across academia and industry. The annual report tracks,
aiindex.stanford.edu
이 글을 쓰면서 얼마전, 아내와 함께 산책을 하다가 저출산 문제에 관해 이야기한게 떠올랐습니다.
그러다 부동산의 위기에 관해 이야기하며 미래에는 어떤 것에 돈이 몰릴 것인가를 고민하게 되더라구요.
"6.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우리 미래사회에 너무나도 당연히, 강력하게 활용될 AI 기술은 빅데이터를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초거대기업에서 축적되고 있습니다. "1. AI에 대한 민간투자 급증, 투자집중 심화"에서 암시하는 바와 같이 결국 우리가 활용할 AI 기술 또한 초거대기업의 것이 되겠지요.
결론은 이러한 기업의 오너가 되는 것이 아닐까요? 여윳돈은 항상 주식에 넣어야겠네요.
처음의 순수한 의도는 어디가고, 이런 세속적인 결말이라니;;

'교단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 발표 높이는 프로그램(feat. 콩주머니) (1) | 2023.01.30 |
---|---|
서울 근교 유기견 보호센터 첫 봉사활동기(남양주) (1) | 2023.01.21 |
국내 최초 인공지능 자격증 시험 후기(AICE) (12) | 2022.11.13 |
현장체험학습 갤러리 만들고 공유하기 #메타버스 #Spatial #사용Tip (0) | 2022.10.28 |
나의 미래 모습 아바타 만들기 #메타버스 #관상 #Spatial (6) | 2022.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