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단일기

현장체험학습 갤러리 만들고 공유하기 #메타버스 #Spatial #사용Tip

by 너구리선생님 2022. 10. 28.
반응형

지난 글에서 학생들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관상을 바탕으로 미래 모습 아바타를 만들었다.

https://aigoamigo.tistory.com/89

 

나의 미래 모습 아바타 만들기 #메타버스 #관상 #Spatial

 한창 코로나가 창궐했을 때, 다양한 원격 수업 방법과 도구가 사용되었다.  메타버스 또한 그 중 하나이다.  2020년과 2021년에는  Zep, GatherTown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주로 활용되었는데 그 중

aigoamigo.tistory.com

 

 자신의 또다른 분신인 아바타를 만들었으니,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할 때.

 올 10월달에 현장체험학습을 갔는데 가기 전 계획서를 작성했다.

 계획서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우리 모둠 사진 주제" 정하기.

"우리가 주인공". 주제가 정말 멋지다

  즐겁게 현장체험학습을 다녀온 학생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있는 사진을 구글 공유 드라이브를 통해 사진을 업로드했다.

조 단위로 사진을 수합했다

 이제 본 수업 시작! 아래의 수업 계획에 따라 수업을 운영했다.

교과 VR, 미술, 국어, 창체
대주제 메타버스에 현장체험학습 갤러리 만들고 공유하기
수업의도 -메타버스 체험
-학생 현장체험학습을 색다르게 공유
성취기준 [6미03-03]미술 작품의 내용(소재, 주제 등)과 형식(재료와 용구, 표현 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 등)을 미술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6국01-05]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수업차시 총 4차시 중 4차시
학습목표 메타버스 공간에 우리 반 현장체험학습 갤러리를 꾸미고 감상할 수 있다.
활용자료 *학생별 데스크탑
*Spatial 공유 갤러리
*현장체험학습 사진 모음
평가방법 *산출물
수업개요 (동기_전체)현장체험학습 다녀온 경험 발표하기
(활1_개별)우리 반 갤러리 꾸미기
(활2_개별)갤러리 감상하기
(정리)소감 발표하기 
핵심발문 (동기)현장체험학습에서 인상깊었던 일은 무엇입니까?
(활1)갤러리에 작품을 소개할 때 체험한 일과 감상이 드러나도록 합니다.
(활2)——
(정리)갤러리를 감상한 소감을 발표해봅시다.

 학생들은 아래와 같이 사진을 업로드하고, 제목과 내용에 체험한 일을 적었다.

 사진 및 체험한 일 업로드가 끝나면 다른 친구들의 작품을 둘러보며 아래와 같이 포스트잇으로 감상평을 남겼다.

우리반 현장체험학습 갤러리

 결과물이 진짜 갤러리처럼 생겼다.

 VR기기인 오큘러스 퀘스트가 있으면 이 공간에 직접 들어가 실제로 움직이면서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 우리 학교에는 이 기기가 없어서 여기까지 해보지는 못했다.

 

 학부모님들께 이 갤러리 링크를 공유하려 했는데, 들어오려면 스마트폰에 Spatial 앱을 별도로 설치해야한다. 그 과정을 어려워하는 학부모님들이 계시기 때문에 Spatial에서 제공하는 녹화 기능을 활용해 갤러리를 녹화하여 공유하는 것도 고려중이다.


 갤러리를 구축하고 감상하는데 몇 가지 우여곡절이 있었다.

 

1. 입력한 내용이 적용이 안됨

 현장체험학습에서 체험한 일을 바탕으로 제목과 내용을 분명 입력했다.

 그런데 위 화면처럼 변경한 내용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10개 중 2개 정도는 이런 문제가 있었다. 별도의 해결방법을 찾지 못했다.

 

2. 입력한 한글 내용이 이상하게 나타남
   

 제대로 된 문장을 적었음에도 문장이 짤려서 나온다거나, 오번역된 느낌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Spatial은 영어 기반이라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초등학생의 경우 활용을 어려워한다. 크롬의 번역기능을 이용해 한글로 자동번역하여 활용했는데 이 때 위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한글 자동번역 기능을 끄면 문제가 해결된다.

 

3. 사진 파일이 업로드가 안됨
   

 아이폰을 활용하는 학생들이 찍은 사진은 HEIC 파일 형식이었다. 이 파일 형식은 Spatial에 탑재가 안된다. 따라서 JPG, JPEG, PNG와 같은 형식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나는 이 사실을 몰랐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느라 모둠별 작업속도가 달라졌고 분위기가 굉장히 어수선해졌다. 교사가 미리 학생들의 사진 파일을 JPG 파일로 변환해서 재업로드해두는 걸 추천한다. 

 

4. 사진, 포스트잇 위치 잡기가 번거로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액자 형태

 사진은 기본 템플릿으로 제공되는 액자 형태에 넣기만 하면 된다. 이 액자는 기본적으로 잠겨 있는데 학생들이 이 잠금을 푸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액자 파일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다시 위치를 잡기가 쉽지가 않다. 

X, Y, Z : 위치 이동 / Rotation : 회전 / Scale : 크기 조절

 마우스로 이동시켰을 때 벽에 촥~ 붙지 않기 때문에 X, Y, Z, Rotataion을 활용해 위치를 잡아줘야한다. 감상할 때 포스트잇을 사진 옆에 붙이도록 했는데 이때 결국 이 이동 방법을 쓸 줄 알아야한다. 기본적인 위치 이동 기능 숙달이 필요하다.


 Spatial. 정말 요물이다. 산출물이 정말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오큘러스 퀘스트 기기만 있으면 정말정말 많이 활용할 것 같다.

 내년도에는 학교에 이 기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인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