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프로젝트 헤일리"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고 재배하는 소설 원작의 영화 "마션"의 작가가 쓴 책이다.
프로젝트 헤일리를 읽다가 뜬금없이 꽂힌 부분이 있다.
중학교 과학 교사인 주인공이 학생들이 발표를 하면 작은 공주머니를 던지는 것이다.
평소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표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고민 했는데 이거다 싶었다.
학생들과 바로 활용해보았다.
[준비물]
콩주머니(약 20~30개), 학생들이 받고 싶은 쿠폰
[활용 방법]
1) 학교에 있는 무수히 많은 콩주머니 중 20~30개 정도를 가져온다.
콩주머니는 운동회 때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수천개 정도의 콩주머니가 학교 체육 창고에 있다!
2) 학생들에게 다음을 안내한다.
-발표를 하면 콩주머니를 준다.
-받은 콩주머니는 하교할 때 선생님에게 가져온다.
-콩주머니 갯수에 따라 오늘의 행운아를 한 명 뽑는다
예를들어, 민경아가 3개의 콩주머니를, 정인재가 1개의 콩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면 민경아가 행운아가 될 활률은 3/4인 75%이다
3) 만약 자신이 행운아가 된다면, 어떤 쿠폰을 받고 싶은지 학급 회의를 통해 정한다.
우리반은 "초콜릿, 아침 휴식권, 제트기 이용권, 뷔폐 이용권, 노래 신청권, 쉬는 시간 증가권(5분), 칼퇴"가 나왔다.
4) 위 방법대로 콩주머니 발표를 통해 매일매일 행운아를 뽑는다.
뽑기를 위해 찾은 사이트는 "모두의 뽑기대장"이란 사이트였다.
http://classtrip.mireene.com/everyselection_random.php
모두의 뽑기대장
classtrip.mireene.com
위 사이트의 랜덤 뽑기에서 input에 콩주머니를 가져온 학생의 이름을 적고 add를 누른다.
그리고 추첨시작을 누르면,
쿠폰 항목도 아래와 같이 넣고, 추첨하면 된다. 이 쿠폰은 "민경아"의 것이다.
이 사이트를 쓰면서 아쉬운 점이 있었다.
첫째, 학생의 발표 횟수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데 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둘째, 마찬가지로 누가 그날그날의 행운아가 됐는지 기록을 남기고 싶었다.
셋째, 콩주머니를 가져온 학생 이름을 매번 직접 타이핑하는게 번거로웠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프로그램의 사용법과 다운로드 방법은 아래의 영상에 있다.
이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느낀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해볼 수 있겠다.
둘째, 콩주머니 20~30개는 사실 많은 양이 아니다. 오늘 하루 6교시의 수업을 한다면 1교시당 3~5번의 학생 발표를 듣겠다는 말이다. 1교시에 이정도의 발표도 듣지 않는다면, 교사로서 내 수업을 반성해야한다. 그를 위한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셋째, 위에서 보았던 사이트 "모두의 뽑기대장"과 같이 사이트 형태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하면 접근성이 더 높을 것이다. 사이트 제작에 관해 더 알아봐야겠다.
넷째, 현업 개발자들이 많이 활용하는 Github을 활용해 프로그래밍을 하고 공유까지 했다. 깔끔하게 만들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시도였다. 다음번에는 조금 더 세련되게 다룰 수 있길!
'교단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퍼드에서 바라보는 인공지능의 현황과 미래는? (0) | 2023.03.01 |
---|---|
서울 근교 유기견 보호센터 첫 봉사활동기(남양주) (1) | 2023.01.21 |
국내 최초 인공지능 자격증 시험 후기(AICE) (12) | 2022.11.13 |
현장체험학습 갤러리 만들고 공유하기 #메타버스 #Spatial #사용Tip (0) | 2022.10.28 |
나의 미래 모습 아바타 만들기 #메타버스 #관상 #Spatial (6) | 2022.10.19 |
댓글